본문 바로가기
아는것이 돈이다/지원금

경기도 조부모 돌봄수당 2025년 경기형 가족 수당 신청방법

by 아즤 2025. 2. 25.

맞벌이 가정이나 양육공백이 발생하여 조부모 등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돌봄 하는 가정이 늘고 있습니다. 이에 경기형 가족돌봄수당 지원사업이 시행 중인데요. 이 글에서는 경기도 조부모 돌봄 수당의 지원 대상, 사업 내용, 신청 기간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경기형 가족돌봄수당

1. 지원 대상

화성, 안양, 파주, 광주, 광명, 하남, 군포, 양주, 오산, 구리, 안성, 포천, 양평, 여주, 동두천, 과천, 가평의 17개 시·군 신청 가능하며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합니다.

  • 경기도 거주 생후 24~48개월 미만 영아가 있는 맞벌이 가정 등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
  • 정부아이돌봄 서비스 미이용자
  • 양육자(부 또는 모)와 아동이 함께 관할 참여 시군 동일 주민등록등본상에 실제 거주

 

■ 돌봄조력자 조건

  • 4촌이내 친인척(조부모 등) : 타 지자체 거주자 가능
  • 이웃주민 : 대상아동과 같은 읍면동 거주자, 동일 주소 읍면동에 1년 이상 거주한 경기도민

 

 

2. 사업 내용

 

 

 

양육가정 소득금액에 제한 없이 월 40시간 이상 돌봄을 수행할 경우 돌봄비를 지원합니다(계좌이체)

  • 아동 1: 30만 원
  • 아동 2: 45만 원
  • 아동 3: 60만 원

 

 

3. 신청 기간

신청 기간은 2025년 2월 3일 ~ 5월 10일까지이며 접수는 매월 1~10일에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3월 접수기간인 3월 1일~10일을 놓친 경우 다음 달 4월 1일에서 10일 사이에 접수하여야 합니다.

 

 

 

4. 신청 방법

돌봄 조력자의 위임장을 받아 ‘경기민원24’누리집에서 양육자(부 또는 모 등)가 일괄 신청 합니다.

 

경기민원24

다양한 신청 서비스 등 경기도민 대상 행정서비스 제공

gg24.gg.go.kr

 

 

 

5. 제출 서류

제출 서류는 주민등록등본, 양육공백 확인서류, 돌봄 조력자 신분증 사본 등으로 아래 누리집 링크를 통해 꼼꼼히 확인해 보시길 권합니다.(스크롤을 가장 아래로 내리면 제출 서류가 보기 쉽게 적혀 있습니다.)

 

경기민원행정서비스 상세 :: 2025년 경기형 가족돌봄수당

○ 경기도 거주 생후 24~48개월 미만 아동이 있는 맞벌이 가정 등 자녀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br />○ 신청가능 시·군(17개) : 화성, 안양, 파주, 광주, 광명, 하남, 군포, 양주, 

gg24.gg.go.kr

 

 

 

 

 

 

6. 자주 하는 질문

① 생후 24~48개월 미만 아동이 2명인 경우 친인척형과 이웃형을 각각 신청할 수 있나요?

> 경기도 가족돌봄수당은 아동이 아닌 가정에 지원하는 것으로, 아동의 명수와 관계없이 신청 시 친인척형이나 이웃형중 1개의 유형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단 아동의 수가 4명 이상인 경우, 돌봄 조력자(친인척, 이웃) 2명 가능

 

② 이웃주민 또는 친인척 간 서로의 조력자로 신청할 수 있나요?

> 서로 간 품앗이 형태의 돌봄 조력 신청은 불가합니다.

 

③ 조부모가(친인척) 기초생활수급자입니다. 가족돌봄수당을 받으면 자격에 변동을 줄 수 있나요?

> 경기형 가족 돌봄 수당은 소득인정액에 포함되므로, 돌봄비 수령자가 기초생활수급자일 경우, 수급자격 탈락 및 급여 감액 등이 될 수 있습니다.

> 돌봄비 수령자는 신청 시에 부모나 친인척, 이웃 중 선택할 수 있으므로, 위 사항을 고려하여 수령자를 신청해 보세요.

 

 

 

마치며

오늘 소개해드린 경기형 가족 돌봄 수당은 맞벌이 가정이나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서울형과는 다르게 소득에 상관없이 지원받을 수 있으니 손주 돌봄 중인 조부모를 비롯한 많은 부모님들이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서울형 아이돌봄비 바로가기

 

서울형 아이돌봄비 조부모 아이돌봄 수당 서울 손주 지원사업

요즘 손자 손녀를 돌보는 조부모님 많이 계시죠? 맞벌이 부모가 많다 보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이 될 수밖에 없는데요. 이에 서울에서는 손주 아이 돌봄을 하는 조부모를 위한 지원 사업이 시행 중

yhjiddi.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