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이 3월 1일부터 강화됩니다. 보조 배터리와 전자 담배로 인한 화제 우려 때문인데요. 용량과 반입 규정 등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숙지해 두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글에서는 항공기 보조배터리 규정과 기내반입 허용 용량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
3월 1일부터 보조배터리의 위탁수하물이 금지되며 기내 휴대하거나 좌석 앞주머니 보관만 가능해지는데요. 위탁수하물 안 되는 이유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컨트롤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기내반입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기내 휴대 가능 / 부치는 짐 불가능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을 보면 100Wh이하일 경우에는 단락방지 조치를 한 후에 1~5개까지 기내 소지가 가능합니다. 단 선반에 보관 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몸에 지니거나 좌석 앞주머니에 보관해야 합니다.
▶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법
10,000 mAH = 37Wh
20,000 mAH = 74Wh
27,000 mAH = 100Wh
30,000 mAH = 111Wh
40,000 mAH = 148Wh
43,000 mAH = 160Wh
2. 단락방지법/항공사 승인받는 법
100Wh이하의 보조배터리를 6개 이상 또는 100Wh 초과 ~160Wh 이하 1~2개를 소지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기내반입 절차
① 발권카운터에서 항공사 승인 및 단락방지 조치를 취한 후에 스티커를 부착합니다.(단락방지 방법은 아래에 별도 안내)
② 보안 검색 시 항공사 승인 스티커가 부착되어있지 않으면 반입이 금지됩니다.
③ 반드시 몸에 지니거나 좌석 앞주머니에 보관합니다(기내선반 보관 금지)
■ 보조배터리 단락방지 조치 방법(아래 중 하나의 방법으로 조치)
① 비닐봉지나 보호용 파우치에 보관합니다. 이때 보조배터리가 1개 이상일 경우 1개씩 분리 보관합니다.
② 단자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합니다.
③ 단자 보호용 캡을 부착합니다.
3.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후 수칙
① 몸에 지니거나 좌석 앞주머니에 보관할 것(기내선반 보관 금지)
② 보관 시 단락방지 상태를 계속 유지할 것
③ 보조배터리에 충전 금지(외부 충격,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
④ 과열되거나 부풀 어오를 시 즉시 승무원에게 알리기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은 3월 1일부터 시행되는데요. 미리 알아두고 숙지해 두어야 위탁수하물로 보내는 등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반입 절차가 강화된 만큼 더욱 안전하게 공항을 이용할 수 있길 바랍니다.
'기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 기간 및 지급일, 조건 (0) | 2025.03.06 |
---|---|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뜻 (0) | 2025.03.04 |
애플 교육 할인 기간 학생 프로모션 스토어 (0) | 2025.02.20 |
단통법 폐지 시기 언제부터 시행일 (0) | 2025.02.18 |
LG그램 노트북 화면 캡쳐 안됨 방법 단축키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