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정보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 항공기 기내 반입 제한 용량

by 아즤 2025. 2. 27.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이 3월 1일부터 강화됩니다. 보조 배터리와 전자 담배로 인한 화제 우려 때문인데요. 용량과 반입 규정 등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숙지해 두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글에서는 항공기 보조배터리 규정과 기내반입 허용 용량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

3월 1일부터 보조배터리의 위탁수하물이 금지되며 기내 휴대하거나 좌석 앞주머니 보관만 가능해지는데요. 위탁수하물 안 되는 이유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컨트롤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기내반입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기내 휴대 가능 / 부치는 짐 불가능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을 보면 100Wh이하일 경우에는 단락방지 조치를 한 후에 1~5개까지 기내 소지가 가능합니다. 단 선반에 보관 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몸에 지니거나 좌석 앞주머니에 보관해야 합니다.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법

10,000 mAH = 37Wh

20,000 mAH = 74Wh

27,000 mAH = 100Wh

30,000 mAH = 111Wh

40,000 mAH = 148Wh

43,000 mAH = 160Wh

 

 

2. 단락방지법/항공사 승인받는 법

 

 

100Wh이하의 보조배터리를 6개 이상 또는 100Wh 초과 ~160Wh 이하 1~2개를 소지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기내반입 절차

① 발권카운터에서 항공사 승인 및 단락방지 조치를 취한 후에 스티커를 부착합니다.(단락방지 방법은 아래에 별도 안내)

② 보안 검색 시 항공사 승인 스티커가 부착되어있지 않으면 반입이 금지됩니다.

③ 반드시 몸에 지니거나 좌석 앞주머니에 보관합니다(기내선반 보관 금지)

 

 

 보조배터리 단락방지 조치 방법(아래 중 하나의 방법으로 조치)

 

① 비닐봉지나 보호용 파우치에 보관합니다. 이때 보조배터리가 1개 이상일 경우 1개씩 분리 보관합니다.

② 단자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합니다.

③ 단자 보호용 캡을 부착합니다.

 

 

3.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후 수칙

① 몸에 지니거나 좌석 앞주머니에 보관할 것(기내선반 보관 금지)

② 보관 시 단락방지 상태를 계속 유지할 것

③ 보조배터리에 충전 금지(외부 충격,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

④ 과열되거나 부풀 어오를 시 즉시 승무원에게 알리기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은 3월 1일부터 시행되는데요. 미리 알아두고 숙지해 두어야 위탁수하물로 보내는 등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반입 절차가 강화된 만큼 더욱 안전하게 공항을 이용할 수 있길 바랍니다.

 

 

 

반응형